땅의 도시


주제전의 두 번째 파트 ‘땅의 도시’에서는 주제에 대한 건축가들의 리서치 작업과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주요 내용은 미래 도시 서울과 대한민국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으로, 크게 서울그린링(SGR), 도시건축의 미래변환(OCS), 서울도시건축플랫폼(SAUP)으로 나누어져 있다.

먼저 ‘서울그린링(SGR, Seoul Green Ring)’은 조선 초기 서울 성곽이 들어서는 한양의 옛 모습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서울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의 도읍지로 정하고 성곽을 세우면서 순성길로 연결되었다. 이후 사람이 모여들며 자연스럽게 산과 물, 지천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성되어 성장했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근대화와 경제발전을 거치면서 거주 인구 1000만 명과 수도권 활동 인구 2500만 명이 모이는 터전이 되었다. 서울은 이러한 급속한 성장과 확장 속에서도 산으로 둘러싸인 외곽 녹지를 둘레길로 연결하여 그 특징을 유지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를 거치며 녹지와 거주지 간의 연결과 선형 공원의 필요성이 이전보다 더욱 강조되면서, 보행로·공원·주거지를 최대한 연결하는 쾌적한 정주 환경 제공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 변화에 발맞추어 향후 교통 인프라의 지하화로 만들어지는 녹지와, 기존의 공원, 한강과 지천을 포함하여 서울 전체를 약 3km 정도 반경의 그린 보행로로 연결하여 주거지 및 상업지에서 쉽게 주요 녹지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그린 패스 네트워크(Green Path Network)를 조성하는 것이 서울그린링(Seoul Green Ring)의 목표이다. 서울그린링은 생태 도시 서울의 미래 비전을 상정하는 일종의 ‘담대한 혁신 목적(MTP, Massive Transformative Purpose)’이다. 이것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신축되는 건축물의 지층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입체 공공 보행 통로를 조성하고, 이에 대한 도시계획적 인센티브 체계를 만드는 것을 고민해야 한다. 서울그린링은 향후 도심 항공 교통(UAM)과 같은 미래 운송 수단의 응급 통로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 후손들은 녹지가 연결된 생태 도시 서울을 향유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건축의 미래변환, 원시티스테이트(OCS, One City-State)’ 파트는 도시의 미래가 어떻게 변할지, 그리고 우리가 미래 대한민국의 어디서 어떻게 살 것인지에 대한 탐구이다.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아 데이터 마이닝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미래 도시 건축의 키워드는 크게 ‘교통 물류, 디지털 변환, 탄소 중립, 인구 변화’ 네 가지이다. 이들 키워드를 중심으로 도시의 미래 모습을 살펴보고, 미국과 유럽 그리고 중국과 일본에서 보여지는 메가리전(megaregion) 현상을 연구하여, 인구가 감소하고 지역이 소멸해가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고민해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서울도시건축플랫폼(SAUP, Seoul Architecture & Urbanism Platform), 한강고래’는 입체화된 디지털 공간을 통해 도시 공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공유할 수 있는 일종의 미래 공간 상상 플랫폼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다양한 건축가들이 꿈꾸고 생각하는 서울의 미래 모습을 컴퓨터 화면과 모바일로 손쉽게 체험해볼 수 있다. 한강고래는 아직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점차 다양한 아이디어가 누적되면서 비엔날레 이후에도 계속해서 전시되고 활용되는 중요한 건축 소통의 플랫폼이 될 것이다.

큐레이터: 천의영

장소: 서울도시건축전시관


큐레이터 칼럼



전시 어시스턴트: 유영원, 김태규, 한혜진, 천지인

SAUP 플랫폼: 한국건축가협회, GS건설, 플래닝고

T-시티


민성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가속화되면서 경제적, 도시계획적 화두가 단일 대도시 중심의 도시권을 말하는 메트로폴리스(Metropolis)에서 최소 2개 이상의 기존 거대도시가 연결되어 인구 1,000만명 이상의 연결된 도시군집을 이루는 메가리전(Megaregion)으로 옮겨가고 있다. 대한민국 부산은 가까운 미래인 50년 내에 환태평양 일대, 즉 대한민국-중국-일본-호주-러시아-미국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거점이 될 것이며, 부산-울산-거제-남해의 경남 지역은 이미 갖춰진 산업-문화-관광 인프라를 토대로 글로벌을 연결하는 한반도 남부지역의 메가리전을 이룰 것이다. 이러한 발전들은 기존의 업무 환경과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도시와 건축은 이러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업무형태인 워케이션(Work + Vacation)의 개념을 고민해야 한다.

SKM Architects는 부산광역시의 오시리아관광단지 중 휴양문화지구에 업무와 여가가 융합된 미래의 업무-휴양단지 “T-시티”를 제안한다. “T-시티”는 오시리아관광단지가 갖추고 있는 관광휴양인프라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바다와 녹지를 동시에 접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업무형태인 워케이션을 실현함으로써 부산이 기술, 문화, 여가, 산업 등 여러 측면에서 글로벌 메가리전으로써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한다.
민성진은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건축학 학사, 하버드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도시디자인학 석사를 취득하고, 1995년 SKM Architects를 설립하였다. 28년 동안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건축가 중 한 명이며, 미국건축가협회 정회원이다. 한국과 해외에서 규모 있는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했으며 최근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건축가다. 긍정적 사고와 미래지향적 추진력을 가진 그는 평범한 것을 비범한 것으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으로 건축작업에 임한다. 이런 그의 포괄적인 건축적 관점과 가치관은 폭넓은 여행 경험과 다양한 문화 경험으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건축이 사고의 틀을 확장하고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믿음으로 새로운 잠재력과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다.

한강, 그리고 새로운 밀도


박희찬(어반 에이전시)


서울의 한강은 홍수 예방과 동서축의 간선도로 연결의 필요성으로 현재의 균일한 1km 폭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같은 변화는 한강이 지녔던 다양성을 상실시키고, 강남과 강북 사이의 사회적, 경제적 분리를 가속화시켰다. 오늘날의 서울에서, 한강은 서울을 남북으로 구분하는 경계가 아닌, 다양한 가능성을 수용할수 있는 품이 넓은 도시 공간으로 작동할 수있는 새로운 도시 전략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강북과 강남의 도시 조직을 연장하고 재연결하는 과정을 통해 구상한 ‘다층복합적 연결체’를 제안한다. 다채로운 규모와 프로그램을 지닌 ‘부유식 섬’들은 연결체와 곳곳에 연결되어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수변 경험과 도시 이벤트를 제공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한강 한복판에 새로운 도시 공간의 밀도가 발생하게 될것이며, 한강은 극복해야할 도시 경계가 아닌, 새로운 도시공간의 생성의 장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박희찬(Heechan Park)은 헤닝스투번(Henning Stüben)과 함께 어반 에이전시(Urban Agency)의 공동대표로서 덴마크 코펜하겐과 독일 뒤셀도르프 사무실을 운영하며 전세계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게이트웨이 + 공원


오스카강


본 제안은 서울그린링 비전의 일환으로 도시와 공원의 교차점에 주목한 분석이다. 이 프로젝트는 서울의 주요 차량 진입 지점(양재IC)을 따라 위치한 동시에 많은 사람이 찾는 매헌 시민공원을 비롯한 서울의 여러 공원들과 인접해 있다. 이 디자인 설계안은 기존의 자연 요소(공원)를 보존하며 새로운 진입로(게이트웨이)를 만들어 새로워질 녹색 서울의 도시 경계를 선명하게 하는 한편 자연과 건축 환경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오스카강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이다. 하버드 디자인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일리노이 공과대학에서 건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Oscar Projects 건축설계 연구소를 설립하여, 건축 디자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전에는 시카고의 John Ronan Architects, 보스턴의 Machado 및 Silvetti Associates, 뉴욕의 Grimshaw 및 Selldorf Architects 사무실에서 근무했다.

이중사고


유해연


건축과 도시를 계획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물론 지역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OCS 프로토타입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더 늦기 전에 성장 중심의 개발로 훼손된 자연을 복원하고, 자연과 상생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재건축, 재개발 사업이 확대되고 도시화가 극대화되는 이 시점에 미래를 위한 가장 ’가치있는 이중사고’, 즉 자연과 기술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유해연은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2000–2008)에서 도시주거 마스터플랜과 설계 등 실무에 참여하였다. 서울대학교에서 ‘도시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한 소블록단위 집합주거계획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도시재생사업단, 총괄과제팀에서 정책 및 제도를 연구하였다(2010–2012). 이후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및 대학원에서 여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2012–).

해방촌 유적도시


전재우


〈해방촌 유적도시〉는 해방촌을 인위적인 역사공원으로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50층 규모의 26동의 건물이 형성하는 “Urban Fence” 사이를 공원과 자연, 해방촌을 의도적으로 방치시켜 인조유적을 조성하며 용산공원과 남산의 녹지축을 연결하는 상상을 해본다.
전재우는 건축 디자이너, 작가 그리고 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를, 워털루 대학에서 건축학사를 졸업했다. 2020년에 하이퍼스팬드럴 사무실을 설립하여 건축뿐 만 아니라 2021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광주 ACC 레지던시 등에서 다양한 공간개념적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현재 한양대학교와 인하대학교에 겸임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한강 마케마케 프로젝트


조신형


〈한강 마케마케 프로젝트〉는 서울과 한강, 한국의 수자원을 긴밀하게 조율하는 프로젝트이다. 한강물과 빗물을 저장하여 사용하는 시스템과 돔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로, 이를 통해 한강의 폭을 줄여 서울의 밀집된 도심에 시간, 공간, 문화적 여유를 되찾는 것을 제안한다.
조신형 DFFPM대표는 연세대 건축과를 졸업하고, 영국 AA스쿨과 하버드대학교 건축학과에서 수학하였다. 미국 쿠퍼유니온(Cooper Union)에서의 교수 경험과 노만포스터(Norman Foster) 스튜디오에서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2008년엔 지식경제부 차세대 디자이너에 지명되기도 했습니다. 잠원동 서울웨이브 아트센터, 한남동 스페이스 신선, 화천위라리주택, 부산 모놀리틱 스톤 등 다수 프로젝트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소개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전시
프로그램
방문
함께한 사람들
소식
EN
메뉴
소개
제4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전시
프로그램
방문
함께한 사람들
소식
EN